한국보건산업진흥원,「보건의료 통상리포트」발간
작성자 정보
- 뉴스코드 작성
- 작성일
본문
한국보건산업진흥원,「보건의료 통상리포트」발간
보건산업 통상분야 최신 동향 분석 및 수출전략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의견을 한눈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이하, 진흥원)은 보건산업 분야의 통상 전문간행물인「보건의료 통상리포트」를 창간하였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수출·통상 환경은 격변하고 있으며, 각국의 보호무역주의·비관세장벽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보건산업 분야의 성장 및 해외진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우리 보건산업 수출을 확대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2022년 보건산업수출은 242억 달러로 전년대비 4.7% 감소했으나, 역대 두 번째 수출 실적 달성하였다.
이에 진흥원은 보건산업 분야 통상정책의 국내·외 현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 시 비관세장벽 등 여러 요인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보건의료 통상리포트」를 발간하였다.
「보건의료 통상리포트」는 5월 창간호를 시작으로 연 2회(상반기, 하반기) 발간될 예정으로, 보건산업 분야 통상쟁점과 관련된 최신의 정책·연구·지역 동향을 소개하고, 우리 보건산업 수출 자료와 함께 통상분야별 쟁점분석, 수출전략 모색 등에 대한 학계, 법조계, 산업계 등 다양한 분야의 통상전문가 식견을 한데 모은 것이다.
진흥원 한동우 보건산업혁신기획단장은 “국내·외 통상환경과 각국의 정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변화가 국내 보건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보건산업에 특화된 통상 관련 최신정보를 제공하여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시 참고할 수 있는 전문 동향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면서, “다양한 전문가의 견해와 통찰을 담은「보건의료 통상리포트」는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국내기업과 관련 분야 실무자들 모두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의료 통상리포트」는 5월 22일 월요일부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홈페이지(www.khidi.or.kr) 동향과 정보>보고서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참고 |
| 보건의료 통상리포트 창간호 구성 및 저자 |
구 분 | 내 용 | 저자 | |
보건산업 분야 수출 현황 | 2022년 보건산업 수출 관련 주요 통계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PART 1. | 최근 국제통상환경 변화와 보건산업의 대응 방향 | 1. 국제통상환경의 변화와 보건산업의 대응 | 강준하 (홍익대학교 교수) |
2. 미국의 대중 기술 통제에 따른 신보호주의조치 동향 및 우리 바이오산업에의 함의 | 고준성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
3. 코로나19 이후 주요 국가의 자국 보건의료 산업지원 정책 동향과 통상규범적 시사점 | 권소담 (법무법인태평양 변호사) | ||
4. 글로벌 경제안보, 통상환경변화와 보건산업 GVC 재편 관련 영향 | 정태성, 한동우 (에이치앤컨설팅 대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단장) | ||
5. 최근 통상환경 변화와 ESG의 보건산업 영향 및 시사점 | 이주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 ||
6. 제약산업 진흥과 통상정책의 조화 | 김성중 (김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 | ||
PART 2. | 보건산업 관련 지역별·분야별 통상 이슈 | 7. 코로나19 백신 관련 특허권 유예 결정은 기존 TRIPs 의약품 강제실시권 조항과 무엇이 다른가? | 박성준 (특허법인 이룸리온 변리사/미국변호사) |
8. 반덤핑조사에 대한 개괄적 이해 | 장지철 (한국 코너스톤 어드바이저 상무) | ||
9. 중국 화장품 규제변화로 살펴보는 한국 화장품 수출을 위한 안전 효능 입증 전략 | 임두현 (엘스안전성효능연구원 대표) | ||
10. EU 주요국 및 영국의 약가제도 동향 분석 | 표준희 (디파이브 테라퓨틱스 상무)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