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표준·인증 정보, 기업에 콕 찍어 알려준다
작성자 정보
- 뉴스코드 작성
- 작성일
본문
- 이(e)나라표준인증 포털, 지능형 서비스 체계로 전면 개편 추진 - 지능형 검색·상담 서비스로 인증획득 시간·비용 연간 200억 원 절감 기대 |
제품・서비스에 대한 국내 인증 획득을 준비하는 기업은 이(e)나라표준인증 포털을 방문하면 인공지능(AI)이 품목별 맞춤 표준인증 정보를 알아서 찾아준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진종욱 원장)은 기업이 보다 신속·편리하게 표준인증 정보 습득이 가능하도록 이(e)나라표준인증 포털*을 지능형 정보 플랫폼으로 새롭게 개편하여 서비스를 개시한다.
* 이(e)나라표준인증 포털은 부처별 5만여종의 표준・기술기준 원문 및 200여 개 국내 법정
인증제도 정보를 통합하여 포털 서비스 제공 중(‘15.1~, 웹사이트 주소 : www.standard.go.kr)
이번 개편은 시장에 처음 진출하는 신생·벤처기업이나 디지털 역량이 다소 부족한 중소기업도 외부 전문가 도움 없이 표준인증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획득하도록 인공지능(AI) 기술(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정보서비스(스마트, SAMRT 붙임참조)를 제공한다
* 표준·인증 통합 데이터를 기계학습하여 기업생산 품목 중심 맞춤형 검색·챗봇 서비스 제공
그간 이(e)나라표준인증 포털은 시스템 구축 이후, 사용자 이용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지난해(’22년) 연간 1.2억 페이지뷰(page view)*를 넘어서는 등 디지털 정부의 핵심 플랫폼으로 입지를 넓혀 오고 있다.
* 연간 접속자 현황(만 건) : (‘19) 4,582 → (‘20) 6,955 → (’21) 7,535 → (’22) 12,153
진종욱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이번에 개편된 “이(e)나라표준인증 포털을 통해 국내 표준인증 정보가 기업 현장 속으로 발 빠르게 전파되어, 정보 부족으로 인한 기업 인증 애로가 조기에 해소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지능형 표준인증 플랫폼 소개(e-나라표준인증, www.standard.go.kr)
현장 중심의 스마트(SMART) 표준인증 정보서비스 제공
➀ 스마트 검색(Search) : 이(e)나라표준인증 포털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기업이 인증 획득에 편리하게 법정 인증 품목(4만 여종)에 근접한 표준인증 관련 정보를 최적화*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기업이 현장에서 실제 생산·판매하는 품목별 표준인증 정보를 더욱 빠른 시간 내에 수집이 가능하다.
< *품목별 표준인증 최적화 검색 예시 >
현재(AS-IS) | 개선(TO-BE) |
‣ 「검색어 일치」 표준·인증 정보만 제공 | ‣ 검색어 연관 「품목별 표준·인증」 정보를 맞춤 추천 |
(예시) 학용품 검색어 입력 → 학용품 표준인증 정보만 제공 | (예시) 학용품 검색어 입력 → 지우개, 물감, 색종이, 필통 등 학용품 연관 품목별 표준인증 정보까지 확대 제공 |
➁ 스마트 알림(Alarming) : 국내·외 표준인증 기관으로부터 입수된 최신 뉴스 및 정책 정보를 실시간 제공한다. 국제표준화기구(회원국), 국가별 기술규제 정책기관, 국내 표준·인증 관계부처 등 150개국 300여개 기관에서 자동 수집된 정보를 품목별로 맞춤 제공*하여 최신 표준인증 기술동향 파악 및 기술장벽에 대응하도록 지원한다.
* 사용자는 이e)나라표준인증 포털에서 이메일 신청·등록만으로 서비스 이용 가능
➂ 스마트 상담(Messenger) : 표준인증 전문가에게 직접 상담하듯이 온라인 챗봇* 서비스도 제공한다. 챗봇창에 품목명을 입력하면 인증대상 여부, 인증 평가기준, 인증 절차 등 인증 획득 과정별 궁금한 사항을 문답식으로 상담한다. 챗봇 서비스는「1381 표준인증 콜센터」와 연계되어 기업의 국내 인증 애로를 해소하는 통합 상담 창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1381 표준인증 콜센터 상담자료(’18~‘21) 1만여건을 분석하여 상담 지식 데이터베이스(DB) 구축
➃ 스마트 추천(Recommend) 및 ➄ 스마트 연결(Tree) : 품목별 연관 검색어를 빅데이터 기법*으로 추천하여 초보인증 담당자도 검색 한 번으로 관련 정보 습득이 가능하다. 또한, 「표준-인증-기술기준 관계도」 정보를 활용하면 다수 인증이 필요한 품목을 확인하거나 관련 시험평가 기준・항목을 찾는데 활용하면 인증획득 시간·비용을 절감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사회연결망 기법(Social Network Analysis) : 검색어와 연결성을 연관 맵(Map) 형식으로 시각화 제공
관련자료
-
이전
-
다음